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클릭했다가 유료가입? 사칭 피해 주의보 발령!

by 골드퀸연 2025. 7. 8.

정부지원금 신청을 가장한 ‘기만성 광고’ 급증… 본인확인인 줄 알았는데 유료서비스 결제?

정부의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소식이 퍼지면서 관련 정보를 찾는 국민들이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틈을 노려 ‘정부지원금 신청 사이트’를 사칭한 유료 서비스 가입 유도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7월 4일 공식 발표를 통해 이 같은 사칭 사이트가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소지가 크다며 광고 중단을 요구하고,
지속될 경우 사실조사에 착수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지금부터 실제 피해 사례와 함께 정확한 주의사항을 알려드립니다.


클릭 한 번에 요금 폭탄? 이렇게 속입니다

위장 방식 실제 내용

블로그 제목: “민생회복지원금 바로 신청” 정부지원금과는 전혀 무관한 유료서비스 연결
버튼 문구: “신청하기”, “지금 받기” 가족보호, 여가보험 등 월 자동결제형 유료 서비스 가입
본인인증창처럼 보이는 화면 휴대폰번호 + 인증번호 입력 시 실제 과금 발생 가능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지원금 신청 전 본인 확인 절차인가 보다” 하고
휴대폰 번호와 인증번호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는 전혀 다른 민간 부가서비스 유료가입입니다.


이런 블로그 글이 특히 위험합니다

최근 네이버 등 주요 포털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정부지원금 받기” 등을 검색하면
광고 영역 혹은 상단 노출된 블로그 중 일부가 정부를 사칭한 제목으로 이용자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실제 노출된 사례들

  • “2025 정부 민생회복지원금 바로 신청하세요”
  • “신청만 하면 45만원, 소비쿠폰 지금 받기”
  • “소득별 지원금 신청 페이지 → 본인인증”

→ 클릭하면 ‘정부지원금’과는 전혀 무관한 ‘가족생활안심서비스’, ‘프라이버시보험’ 등에 연결됨


방송통신위원회 공식 입장

방송통신위원회는 해당 사례를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위반 가능성이 높은 기만성 광고로 판단했습니다.

방통위 조치 내용 설명

광고 게시업체에 즉시 광고 중단 요구 이용자 피해 확산 방지 차원에서 긴급 대응
행위 지속 시 사실조사 착수 예정 위반 사실 확인 시 행정처분 및 형사고발 가능성 있음
기만성 구조 판별 기준 제시 “정부지원금” 등 공공명칭 사용, 본인인증 유사 UI 등 포함

문의처: 방송통신위원회 부가통신조사지원팀 (☎ 02-2110-1539)


피해를 막으려면? 꼭 기억해야 할 5가지

  1. 공식 사이트 주소 확인
    → 정부지원금 신청은 반드시 정부24, 국민비서
    공공기관 웹사이트 또는 앱에서만 진행
  2. 블로그·카페 게시물은 절대 ‘클릭 신청’ 금지
    → 블로그 링크를 통한 신청은 존재하지 않음
  3. '신청하기', '본인확인' 문구 클릭 전 반드시 URL 확인
    → 'gov.kr', 'korea.kr' 도메인이 아닌 경우 위험
  4. 피해 발생 시 즉시 이동통신사·소비자원 신고
    → 유료 부가서비스 가입 피해는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철회 가능
  5. 국민비서 구삐 알림 서비스 이용 권장
    → 실제 소비쿠폰 신청일, 대상, 지급수단 등을 정확하게 사전 안내


실제 사례 요약

피해자 유형 피해 내용

30대 직장인 A씨 네이버 광고 클릭 → ‘45만 원 신청’ 문구에 속아 휴대폰 입력 → 월 8,800원 자동 결제 발생
60대 고령자 B씨 블로그 클릭 후 본인인증 오해 → 가족보호 유료 서비스 등록 → 3개월간 과금 지속됨

→ 피해자 모두 “정부지원금 신청인 줄 알고 클릭했다”고 진술함


결론: 정부지원금은 절대 블로그나 광고로 신청하지 않습니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정해진 신청 일정과 공공사이트를 통해서만 접수됩니다.
블로그나 포털 광고를 통한 ‘지금 신청하기’ 링크는 절대 공식이 아니며,
그 뒤엔 유료 부가서비스, 개인정보 수집, 자동결제 등의 피해가 숨어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꼭 기억하세요.
정부지원금은 ‘정책브리핑’, ‘정부24’, ‘국민비서’가 알려주고, 블로그 광고는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