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해봤더니 근무 기간이 짧게 기재되거나, 아예 기록이 빠져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냥 두면 실업급여·퇴직금·연금까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정정 절차로 반드시 수정해야 합니다.
📌 정정이 필요한 대표 사례
- 가입일 또는 상실일이 실제 근무 기간과 다를 때
- 사업장명이 잘못 기재된 경우
- 근무했던 직장이 누락된 경우
📝 정정 절차 (2025년 최신)
- 관할 근로복지공단 지사 방문
- ‘피보험자격 확인청구서’ 작성·제출
- 증빙자료 제출 :
- 근로계약서
- 급여명세서
- 4대보험 가입내역서
- 공단에서 사실 확인 후 이력 수정 반영
📎 처리 기간 & 유의사항
- 처리 기간: 평균 3~7일 (서류 검토 기간 포함)
- 회사가 자료 제출을 거부하면, 근로감독관 조사 요청 가능
- 수정 후에는 반드시 다시 조회해서 반영 여부 확인
💡 마무리
오류를 방치하면 손해는 오롯이 본인 몫입니다.
정정은 무료이고, 서류만 갖추면 빠르게 처리됩니다.
오늘 확인하고, 잘못된 기록은 즉시 고치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로 실업급여 수급 조건 미리 확인하는 법 (2) | 2025.08.13 |
---|---|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와 국민연금 가입기간, 이렇게 연결된다 (2) | 2025.08.13 |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모바일로 3분 만에 완벽 확인하는 법 (1) | 2025.08.12 |
숨은 경력 찾기!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로 연금·실업급여까지 챙기기 (2) | 2025.08.11 |
[2025 최신]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1분 만에 끝내는 초간단 방법 (1) | 2025.08.11 |